통.환.다

고혈압판정을 처음받거나 혈압약을 먹어도 호전되지 않으면 수면검사부터 받아보세요!

통환다 2023. 7. 23. 12:41
반응형
고혈압판정을 처음 받거나, 고혈압약을 먹어도 혈압수치가 떨어지지 않는 경우,
수면무호흡검사를 추천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통풍환자의 다이어트 통환다입니다. 저는 비록 통풍환자이지만 제 블로그 설명란에도 있듯이 남부럽지 않게 고혈압도 있습니다. 그래서 재빠르게 체중을 관리하기보단 서서히 체질과 체형을 변경해나가는 운동을 하고 있죠. 제가 회사에 다니면서 굉장히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수면장애, 장거리 운전 등으로 인해서 굉장히 피폐해졌던 때가 있었습니다. 약 5년 전인 31살쯔음 뒷목이 자주 땡기고 찌릿찌릿한 증상도 많이 발생했었어요. 그래서 병원에 가봤더니 글쎼...

고혈압 최초 판정시 170 / 120

1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은 받으면서 혈압이 좀 있구나 정도는 인지하고 있었는데 몸이 안 좋아진 것을 체감했을 때 측정을 해보니까 절대로 나오면 안 되는 수치가 나왔었습니다. 의사선생님은 이정도면 일상생활에서 굉장한 불편함을 느꼈을텐데 괜찮았는지 물어봐주셨어요. 그리고 이정도 수치를 조절하려면 가장 기본이 되는 0.25mg의 약의 약 3-4배 정도의 용량을 사용해야될 것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그런 말들 있잖아요. 혈압약을 한 번 먹으면 계속 먹어야된다는 말이 너무 무서웠던 나머지 약을 먹지 않고 이제부터라도 운동 열심히 하겠다고 하니까 의사선생님게서는 이정도 수치면 길바닥에서 요절할 수도 있고, 이 수치에서 운동을 하는 것 역시 너무 위험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약을 먹고 조절에 들어갔습니다.

혈압약을 먹어도 140-100 왜 변화가 없을까...

이렇게 용량이 큰 혈압약을 먹었는데도 혈압이 좀처럼 내려가지 않아서 의사선생님도 고민이 많으셨습니다. 일단 140정도만 하더라도 높긴 하지만 괜찮은 수치라고 하셔서 일단 운동을 꾸준히 하고 관리를 좀 더 해보자고 하셨습니다.

 우연히 수면다원검사를 받게 됌

제가 결혼을 하고 난 후 살이 급격하게 찌면서 (90kg > 98kg) 잘 때 코를 굉장히 많이 곤다고 와이프가 힘들어했었거든요. 그래서 코골이 교정 병원을 다니다가 우연히 수면다원검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검사비는 한 10만원정도였던 것 같은데 다행히 실비처리가 되어서 본인부담금은 10%남짓이었습니다. 검사결과가 아주 흥미로웠는데요. 병원에서도 이런 환자는 100명 중 한 명 있을까 말까하다면서...제가 수면을 하면서 30%정도만 호흡을 하고 나머지 70%구간은 무호흡상태였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자도자도 늘 피곤했고, 무호흡하다가 생존을 위해 호흡을 하는 순간 끽!! 하는 소리와 함께 숨을 가쁘게 쉬어서 와이프가 굉장히 놀랐었거든요. 그렇다보니 살도 물론 쪘지만 얼굴이 매일 부어있었고, 늘 피곤했고 뒷목이 땡겼던 것입니다.

수면무호흡증상이 있을 때 혈압은 당연히 올라감

생각해보면 혈압이 오른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호흡을 통해 혈관에 피를 뿜어주는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 산소공급량이 줄어들것이고 어떻게 해서든 제 신체는 저를 살리려고 하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보니까 혈관을 굉장히 수축시켜서 살려는주되 혈압에 큰 악영향을 주게되는데 이것이 고혈압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잠이 보약인데 저 같은 경우는 잠이 저승문을 노크하고 있는거죠. 그래서 수면다원검사 후 양압기 처방을 받게 되어서 지금은 양압기를 쓰고 있습니다. 코를 안 골기 위해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곤 하는데 이 경우 재발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해서 잘 때 호흡을 임의로 넣어줄 수 있는 양압기를 선택했습니다. 이것도 다 실비보험되어서 한달 렌탈비는 1만원정도에요.

출처 : 레즈메드 홈페이지(제가 사용중인 제품)

양압기 사용 후 약을 먹으면서 혈압이 정상수치로.

이렇게 양압기를 사용하면서 0.75mg의 혈압약을 복용했고 그제서야 120/80정도의 평균적인 혈압으로 내려왔습니다. 이후로 지속적으로 체중관리를 위해 운동도 하고 식이요법도 하고 실제로 체중도 7~8kg감량을 했습니다. 지금은 혈압약 복용의 가장 기본 용량은 0.25mg를 복용중이고 현재는 130/90정도로 혈압이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출저 : 나혼자산다(전현무님도 양압기 사용을 하셨었죠)

물론 고혈압의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죠. 가족력도 있고, 식사습관, 신장기능의 약화, 비만 등등이 있지만 보통은 약을 복용하면 수치는 떨어지거든요. 그런데 약을 먹는데도 불구하고 혈압이 좀처럼 낮아지지 않는다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무호흡수면증상이 있는지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처음 혈압판정을 받으신 분들 중에 혈압약을 먹긴 좀 부담스럽다는 분들이 계신다면 역시나 수면검사를 먼저 해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그럼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좋아요/구독 누르시면 혈압이 내려가고 살이 빠진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