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박수 영역3구간이 지방 연소에 적합
웨이트한 후 러닝할 경우 영역3에 빠르게 도달함.
안녕하세요, 통풍환자의 다이어트 통환다입니다. 오늘 오후부터는 비가 계속 오네요. 올여름 참 지겹게 비가 오는 것 같은데 오늘도 비를 뚫고 운동을 다녀왔습니다. 원래 약간의 비면 우산을 쓰고 다녀오곤하는데 폭우가 쏟아져서 차타고 다녀왔어요.
등운동 1시간 20분.
화요일은 원래 하체를 하는 날인데 와이프와 밤에 러닝을 좀 하자고 해서 하체를 좀 아끼기로 하고 등운동을 먼저 했습니다. 가슴 운동을 하고 나서는 1-2일내에 등 운동을 해줘야 어깨가 말리는 라운드 숄더를 방지할 수 있어요. 음 그러니까 가슴운동을 하면 가슴쪽에 근육들이 응축되면서 어깨를 말리게 하거든요. 그래서 당기는 운동을 통해서 쭉쭉 펴줘야 해요.
오늘 정말 오랜만에 데드리프트를 했는데요. 데드리프트가 워낙 좋은 운동이긴 하지만 운동후에 허리가 자꾸 아파서 좀 기피해온 운동인데 오늘 사람들도 별로 없고 해서 정말 오랜만에 했어요. 남들은 막 80kg씩 하지만 저는 양쪽에 20kg정도씩 가볍게...^^;; 데드리프트가 참 좋은 운동이긴 한데 부상이 오기 쉬운 운동이라 저처럼 야매로 배운 사람들은 부상의 위험이 크더군요. 오늘도 괜히 허리가 좀 아픈 느낌? 그래도 등 전체에 자극을 줄 수 있어서 종종 해줘야겠어요. 확실히 등처럼 근육이 상당히 큰 부위를 운동하다보니 심박수가 많이 올라가네요.
그리고 케이블 운동 2개, 랫풀 다운, 양손시티드로우, 한손시티드 로우 이렇게 5개 구성으로 등운동을 마무리했습니다.
웨이트 후 러닝머신을 뛰면 심박수가 빠르게 올라감! 심박수 존 3영역
최근에 유산소 러닝을 하면서 심박수 영역에 대해 조금, 아주 조금 공부를 했는데요. 효과적인 지방 연소를 위해서는 3영역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글들을 많이 봤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달리기 할 때 속도 거리세팅보다는 심박수 영역이 나올 수 있게끔 스크린을 조정하고 달리고 있습니다.
사실 지금까지 러닝을 하기 전에 웨이트를 했던 이유는 러닝을 먼저할 경우 에너지 소모가 너무 커서 오히려 웨이트 운동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인데요. 오늘 제법 유용한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웨이트를 한시간 정도 하고 나면 이미 심박수가 좀 올라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웨이트 운동 후 바로 러닝을 하게 되면 심박수 3영역에 굉장히 빠르게 진입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달리기 속도를 높이는 것도 방법이겠으나 그러면 너무 금방 지쳐버리기도 하고 저처럼 과체중인 경우 무릎이나 발목에 부상이 올 수도 있어서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속도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오늘 약 4km를 8.5km/h속도로 달렸고 약 28분동안 달렸는데 지방 연소가 가장 잘된다는 영역 3에 있던 시간이 총 18분, 그리고 유산소를 통한 체력증진효과까지 볼 수 있다는 영역 4에 7분 이상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총 28분 달린 시간 중에서 2분 정도를 제외하면 매우 효율적인 체중감소 심박수 구간으로 뛸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어때요? 괜찮죠?
물론 본인이 운동을 할 때의 목표가 골격근량을 높이는 것이다 하면, 아주 가볍게 러닝을 먼저 하고 웨이트를 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처럼 과체중이어서 체중감소가 더 우선적인 목표라고 한다면 저처럼 웨이트 1시간 정도 하고 그 이후에 러닝을 하시면 짧은 시간으로도 굉장히 효율적인 지방 연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사실 저도 스마트워치 엄청 쓸모없는거라고 생각했는데 쓰면 쓸 수록 뭐랄까 건강을 더 생각하게 해주는 그런 아이템이네요. 그럼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좋아요/구독을 누르시면 요산수치가 내려가고 살이 빠진답니다. 감사합니다.
'통.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지방 연소에 좋은 15층 계단오르기 - 심박수가 얼마나 빨리 오를까? (2) | 2023.08.24 |
---|---|
단시간에 심박수 올리는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 계단오르기! (심박수 영역5까지?!) (1) | 2023.08.23 |
러닝머신 뛸 때 스마트워치가 있으면 좋은 이유(심박수 영역) (2) | 2023.08.22 |
통풍환자가 단백질 섭취시 주의할 사항 (0) | 2023.08.20 |
입이 터져버린 8월 말, 계속 무언갈 집어먹으니까 살이 안 빠집니다 (1) | 2023.08.19 |